그럼 기준금리 인상 신호, 조정인 기자와 함께 더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지금까지 이주열 총재 발언들을 보면 금리를 올리긴 올릴 것 같은데, 과연 언제쯤일까요?
[기자]
시장이 오늘(11일) 이주열 총재의 발언에 주목한 건 금리 인상 시기를 짐작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7년과 18년에도 비슷한 선례가 있었는데요.
당시에도 이 총재는 창립기념사에서 금리 인상을 시사했고, 두 번 다 5개월 뒤인, 11월에 기준 금리를 올렸습니다.
[앵커]
그럼 이번에도 11월쯤으로 예상할 수 있을까요?
[기자]
성장률 추세와 물가 상승률 등을 보면 올릴 수 있는 상황은 무르익고 있습니다.
다만 올해는 코로나19라는 경험해보지 못한 변수가 있죠.
이 총재도 코로나19 전개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해 과거의 예처럼 꼭 올해 안에 금리를 올릴지는 단정 지어 말하기 어렵습니다.
[앵커]
금리를 올린다고 해도, 단번에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되돌릴 순 없겠죠?
[기자]
코로나19 직전 기준금리가 연 1.25%였는데 지금은 0.5%까지 낮아졌습니다.
경제 상황이 급격히 안 좋아지다 보니 짧은 시간에 금리를 내리는 이른바 '빅컷'을 했는데요.
금리를 올릴 때는 아기 걸음마 하듯 천천히 여유를 두고 올릴 가능성이 큽니다.
[앵커]
우리 금리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미국 상황은 어떤가요?
[기자]
미국 5월 소비자 물가가 1년 전보다 5% 올라 13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다만 미국에서는 인플레이션 우려가 일시적이라는 정서가 아직 우세한데요.
미국도 경기 회복이 빨라지고 있는 만큼 금리 인상 시기에 대한 고민이 갈수록 커질 겁니다.
[앵커]
아무래도 걱정되는 건 금리가 올랐을 때 가계에 미치는 영향이거든요?
[기자]
지난달 말 기준 전체 가계부채 중 은행권에서 빌린 돈만 천24조 원입니다.
대출금리가 1%p 오르면 이자만 12조 원 늘어나고요.
특히 최근 큰 타격을 받은 자영업자의 경우 금리가 1%p 오르면 이자로 5조 2천억 원을 더 내야 한다는 조사도 있습니다.
그만큼 사회 전체에 부담이 될 거고, 그래서 한국은행이 미리 대비해라 이런 경고를 계속 보내는 겁니다.
[앵커]
그런데도 정부는 당분간 돈을 더 풀겠다고 하지 않나요?
[기자]
경제가 좋아지고 있긴 하지만 코로나19 이전 수준은 아닌데다 고용까지 회복되려면 긴축 정책은 시기상조라는 판단 때문입니다.
그래서 여당을 중심으로 전국민 재난 지원금까지 거론되고 있는데요.
다만 이렇게 되면 소비를 촉진하고 물가가 따라서 오르게 되면서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더 앞당기게 할 수도 있습니다.
영상편집:남은주/그래픽:고석훈
▣ KBS 기사 원문보기 : [ Ссылка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Ссылка ]
◇ 이메일 : kbs1234@kbs.co.kr
#기준금리 #한국은행 #금리인상
Ещё видео!